07-1 뷰포트와 미디어 쿼리 알아보기
뷰포트(viewport): 화면의 크기나 기기의 방향을 체크할 때 사용하는 것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"> width=device-width: 문서 너비를 현재 기기의 너비에 맞춥니다 initial-scale=1: 문서를 불러와 화면에 표시할 때 기본 배율을 1로 지정합니다. |
미디어쿼리(media query)
@media [only|not] 미디어 유형 [and 조건] * [and 조건] |
@media screen and (min-sidth:921px) and (max-width: 1260px) {} |
07-2 미디어 쿼리 사용하기
방법 1. 외부 CSS 파일로 정의하기
<link rel="stylesheet" media="미디어 쿼리 조건" href="css 파일 경로"> |
@import url(css 파일 경로) 미디어 쿼리 조건 |
방법 2. 웹 문서에서 직접 정의하기
<style media="미디어 쿼리 조건"> 스타일 규칙들 </style> |
<style> @media 미디어 쿼리 조건 { 스타일 규칙들 } </style> |
07-3 가변 이미지
가변 이미지: 화면 너비에 따라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가 바뀌는 이미지
img { max-width: 100% height: auto; } |
<img> 태그의 srcset 속성
07-4 가변 동영상
<video> 태그를 사용할 경우
<object>나 <iframe> 태그를 사용할 경우
'스터디노트 > Do it! 프런트엔드 웹 디자인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#8] 원 페이지 사이트와 패럴랙스 스크롤링 효과 만들기 (0) | 2021.02.23 |
---|---|
[#6] 웹의 기본은 텍스트 - 타이포그래피 (0) | 2021.02.22 |
[#5] 풀 스크린 배경과 캐러샐 (0) | 2021.02.22 |
[#4] 클릭에서 스크롤로! - 원 페이지 사이트 (0) | 2021.02.22 |
[#3] 반응형 웹에 어울리는 그리드 레이아웃 디자인 (0) | 2021.02.22 |